
평가 프로그램
대개 종합심리검사(full battery psychological test)를 통해 지능, 집중력과 문제 해결능력, 불안 우울 공격성과 같은 정서 상태를 다각도로 평가하여 내담자의 인지, 주의력, 심리, 대인관계 등 전반적인 상태나 수준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놀이, 언어, 미술, 사회성 등의 치료계획을 수립하며 결과에 따라 약물처방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 외 지능, 주의력, 성격, 학습능력, 발달 등 다양한 세부 검사들이 가능합니다.
언어평가
언어능력, 조음, 유창성 등에 대한 세부 평가가 가능하며 내담자의 발달 정도와 상태에 따라 선별하여 세부적인 평가 내용을 결정합니다. 언어 이해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발화나 표현력 등 언어를 산출해 내는 과정의 문제인지를 구분하게 되고 이 결과에 따라 맞춤형으로 치료에 들어가게 됩니다.
놀이평가
애착이나 정서 문제가 있는 아동이나 청소년을 주로 대상으로 하며 치료자의 관찰을 통해 눈맞춤, 언어 표현, 놀이의 종류 선택, 주도성/수동성 등 상호작용의 형태를 면밀히 평가하여 향후 치료에 반영합니다.

놀이치료
양육자와의 정서적 교감을 놀이치료 선생님과의 관계를 통해서 다시 겪음을 통해, 교정적 발달적 재경험(corrective developmental reexperience)함으로써 불안을 줄이고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자존감을 높여 사회적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을 끌어올리게 됩니다.
놀이치료의 효과
아동의 자발성과 주도성을 존중하고, 놀이를 통해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해 내게 됩니다. 이를테면, 불안 분노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 뿐만 아니라 인정 칭찬 독점욕구 등의 숨겨진 욕망을 놀이를 통해 표현해 냄으로써 감정이나 생각을 보다 자연스럽게 표현해 내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놀이치료는 얼마나 자주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주 1회 또는 2회 정도로 정기적으로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시행하게 되며, 증상 및 질환에 따라 다르나 보통 수 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언어치료
언어평가 후 평가 결과에 따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언어 발달지연이 주된 문제인 경우는 언어발달 언어치료
발달장애나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은 발달장애 언어치료
말을 더듬거나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는 발음 장애 및 유창성 언어치료
상황에 맞게 적절한 어휘와 표현이 서투른 경우는 화용성 언어치료

인지학습치료
1. 인지(발달)치료
2. 인지행동치료
3. 인지학습치료

집단사회성치료
대개 수 주에서 수 개월 이상의 치료 기간을 필요로 합니다.
1시간 30분을 한 세션으로 하고 주 치료사의 지도 하 구성원들이 편을 나누어 시합을 하거나, 타인의 말을 경청하는 훈련, 내 의견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훈련, 게임이나 시합에서 졌을 때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 내 차례가 아닐 때 기다리는 훈련 등 다양한 전략으로 치료 세션을 수립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집단 내 일어나는 여러가지 역동들을 다루게 되고, 이를 통해서 자기 내면을 돌아보고 타인의 긍정적 행동을 모방하고 부정적 반응들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자신의 표현과 행동을 타인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변화시켜, 긍정적인 자아상의 확립과 구체적인 대인관계의 기술을 배워 나가는 아주 효과적인 치료입니다.